
동소개

안녕하십니까? 주민 여러분! 가양2동장입니다.
우리 행정복지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행정복지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동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동은 옛부터 "햇빛이 들어 따뜻하고 정과 사랑이 넘치는 아름다운 곳으로 사람이 살기좋은 동네”라 하여 "가양동"으로 불리어 왔습니다. 우리 동 홈페이지는 가양2동의 주요현황과 민원업무 안내 등 일상 생활과 관련이 있는 다양한 정보를 알려드리고 주민 여러분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편하였습니다. 동행정에 대한 궁금사항이나 건의사항 등이 있으시면 자유로이 참여하실 수 있으니 많은 이용과 참여 바랍니다. 끝으로 가양2동 직원 모두는 주민 여러분을 위하여 정성을 다하고 살기좋은 가양2동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동 상징 캐릭터
우암도사와 가양도령
동구 교육의 메카로 우암 송시열 선생의 얼을 계승 발전시키는 ‘우암도사와 가양도령’

유래/연혁
백제 시대는 우술군(雨述郡), 신라 시대는 비풍군(比風君), 고려 초기에는 회덕현(懷德懸)에 속했다가 뒤에 공주부(公州府)에 속했음. 조선시대 태종(太宗) 13년(1413)엔 다시 회덕현 외남면(外南面)에 속했으며, 조선시대 말 고종(高宗) 때에는 회덕군 외남면에 속해서 괭잇들 가에 있으므로 괭이 또는 가양(佳陽)이라고 불렀음. 그후 1914년 행정구역 개혁시 매봉리, 원리, 탁곤리와 내남면의 송촌(宋村) 일부를 병합하여 갱이의 이름을 따서 가양리(佳陽里)라 하여 대전군(大田郡) 외남면에 편입되었음. 1935년 11월 1일 대전부(大田府) 신설에 따라 대덕군 외남면에 편입되었다가 1940년 11월 대전부 가양정(佳陽町)이라 하다가, 해방과 더불어 일본식 동명(洞名) 변경에 따라 가양동(佳陽洞)이라 고치고 대전시 동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1982년 9월 1일 분동되어 가양2동이 되었음.
지역특성
- 가양2동은 북쪽으로는 대덕구 비래동과 경계를 이루고 동쪽과 남쪽으로는 대청동, 자양동과 인접한 지역으로 계족산이 휘돌아 능선을 이루어 아늑 하고 편안한 지형적 특성을 보여주며, 대전IC, 대전복합터미널이 근접한 교통중심의 도시임.
- 우암사적공원, 박팽년유허비 등 충절의 문화유적과 한국폴리텍Ⅳ대학, 대전보건대학교가 위치한 동(洞)으로 계족산과 문화유적이 어울어진 살기좋고 쾌적한 주거지역임.
- 2013년 7월부터 대전에서 유일하게 행정안전부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동으로 선정되어 주민자치회를 운영해왔으며, 2018년9월에는 대전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동으로 선정되어 2019년4월 주민자치회를 출범하였음.
일반현황
면적, 인구, 행정조직
2025. 3. 1. 현재
면적 | 세대수 | 인구수 | 행정조직 | 직원수 | ||||
---|---|---|---|---|---|---|---|---|
계 | 남 | 여 | 통 | 반 | 정원 | 현원 | ||
1.69㎢ | 9,732 | 18,343 | 9,202 | 9,141 | 28 | 149 | 16 | 16 |
청사현황
- 소재재 : 대전광역시 동구 흥룡로 33(가양동)
- 건축년도 : 1983. 6. 30.
구분, 계, 지하층, 1층, 2층, 3층 제공 하는 테이블입니다. 구분 계 지하층 1층 2층 3층 용도 - 창고 민원실 중대본부, 회의실 다목적실 면적(㎡) 728.43 18.55 236.25 236.25 222.5
주요기관 및 시설
계 | 학교 | 경로시설 | 공원시설 | 문화재 | ||||
---|---|---|---|---|---|---|---|---|
소계 | 초 | 중 | 고 | 대학 | ||||
20 | 7 | 2 | 2 | 1 | 2 | 8 | 2 | 5 |
통반현황
오시는길
36.349323/127.447403
- 행정동 : 가양2동
- 법정동 : 가양동
- 소재지 : (우)34532 대전광역시 동구 흥룡로 33 (가양 2동)
- 전화번호 : 042-259-7471
- 팩스번호 : 042-224-6187
- 버스노선 : 105, 106, 613, 620번
- 자료관리 담당부서
- 가양2동
- 042-259-7474
최종수정일 2025-03-24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